[부동산 용어] 주택담보대출 용어 LTV,DTI,DSR이란?
안녕하세요.
부동산과 재테크를 공부하는 "레나"입니다.^^
이제 날씨가 점점 선선해지는 게 벌써 가을이 왔네요.코로나 뿐만 아니라 감기도 조심해야 할 것 같아요.^^
부동산 구입 시 대부분 대출을 이용하실텐데요, 정부에서 조정 지역 대상 및 투기과열지구에 주택담보대출에 규제를 강화하고 있죠. 주택담보대출 용어인 LTV,
DTI,DSR가 무엇인지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적어보겠습니다.^^ 우리가 실제 부동산 구입 시 받는 대출인 만큼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~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4OyJ/btqIS7jmyRz/PfKrFOL1ftmd77UWII2n50/img.jpg)
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~
LTV(Loan To Value Ratio)란?
주택담보 대출 시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
(=주택담보대출비율)
집을 담보로 은행에서 얼마까지 대출을 해줄 것이냐의 비율입니다. 예를 들어, 시세 5억원 아파트에 LTV를 40% 적용한다면 2억원의 대출이 가능한 것입니다.
담보물 감정가 대비 LTV의 비율이 낮으면 대출 가능 금액이 낮고, LTV의 비율이 높으면 대출 가능 금액도 높은 것이죠.
현재는 주택 가격 9억원 이하인 경우,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는 LTV 40% 적용, 조정 대상 지역은 LTV 50% 적용, 비규제 지역은 LTV 60%를 적용하고 있습니다. 비규제 지역의 아파트 구매 시 LTV 60%를 예상했는데 갑자기 규제지역으로 묶이면 그만큼 대출 한도가 줄어드니 잘 확인해야 하겠죠.
DTI(Debt to Income)란?
연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
(=소득에 대한 부채 비율)
채무자의 소득으로 상환할 수 있는지에 대한 능력을 판단해 대출한도를 정하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, 연소득 5,000만원에 DTI 40%를 설정할 경우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2,000만원에 초과하지 않도록 대출이 제한됩니다.
2018년부터 신 DTI가 적용되는데요 모든 주택담보대출 상환금액(원금+이자)+기타 금융 부채 상환금액(이자)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입니다. 여기서 중요한 것은 기타 금융 부채 상환금액의 "이자"만이지 원금은 아닙니다. 즉, 대출상환액이 소득의 일정 비율을 초과하지 않도록 대출금 규모를 제한하는 것을 말합니다.
연간소득액 입증 방법 - 증빙소득 2년분을 준비해야 합니다. 직장인의 경우 원천징수영수증을 준비하면 되겠죠? 자영업자나 소득 증빙이 어려운 경우 건강보험료 납부액, 신용카드 사용액 등으로 소득 추정치를 계산합니다.
자세한 연간소득액 입증방법은 아래 표를 참조하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U9MJg/btqISvxEOke/qC6FToDWO9P6OVSnGAmz41/img.jpg)
DSR(Debt Service Ratio)란?
연소득 대비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
(=채무상환비율)
DSR은 전체 대출에 대한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입니다. DTI보다 좀 더 강화된 제도라고 보시면 되는데요, DSR은 담보대출을 포함한 다른 모든 대출까지 반영하는 것입니다. 즉, 모든 주택담보대출 상환금액(원금+이자) + 기타 금융 부채 상환금액(원금+이자)를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입니다. 위의 DTI와 비교해보시면 기타 금융 부채 상환 금액의 "원금"이 더해지는 거죠.
예를 들어보면, 연소득 5천만원인 경우 1년간 갚아야 할 원리금 상환액이 3천만원인 경우 현재 DSR은 상환 예정액 3천만원을 연소득 5천만원으로 나누면 60프로죠. 금융기관 DSR 한도가 80%라면20%(80%-60%)에 해당하는 1,000만원을 추가 대출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.
DSR은 대출 원리금은 물론 신용카드 미 결제액, 자동차 할부금 등 모든 부채의 원리금까지 계산해 대출 상환 능력을 따지는 기준인 것입니다. 따라서 DSR이 적용되면 DTI를 적용했을 때보다 대출이 더 어려워 집니다.
다양한 대출별 DSR 반영 방법은 아래 표를 참조하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Oyj3d/btqIX3NIGkL/qe3JIP7pNQY9N21GjucoX1/img.jpg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처음 이 용어들을 보신 분들도 바로 이해 되시도록 최대한 쉽게 기재해보았는데요,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^^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Gak4/btqITuFeBNA/4k2OT1A0VCnefUqnkMp2ak/img.jpg)
* 위 글에서 사용된 표는 금융위원회에서 발표한 2018.10.18 DSR 관리지표도입 및 RTI 개선방안 보도자료에서 인용하였습니다.